확대 l 축소

충남연구원, “충남 지역별 맞춤형 대기질 관리방안 모색해야”


[한국제일신문, 김성옥기자] 충남 지역별 대기오염 특성에 따른 맞춤형 대기질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전문가의 주장이 나왔다.

최근 충남연구원 김종범 책임연구원 등 연구진은 “충청남도 시군별 대기오염 특성 및 지역 맞춤형 대기질 관리방안” 인포그래픽을 발표했다.

연구진은 “현재 정부는 지난 2003년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작한 대기질 관리 정책을 2020년부터 전국 4대 권역으로 확장했다. 이에 따라 각 권역별 대기질 관리 기본계획이 수립됐고, 광역지자체는 기본계획 목표 달성을 위해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라며 “충남이 속한 중부권 중 대전·세종은 좁은 면적에 유사한 농도가 분포되어 있는 반면, 충남·충북·전북은 넓은 면적에 개별 시·군마다 상이한 대기오염특성을 보이고 있어 지역별 맞춤형 대기질 관리방안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에 보고서에는 충남 15개 시·군을 도시·농촌복합형, 에너지·산업형, 농어촌형 등으로 나눠 관리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먼저, 에너지·산업형 지역(보령, 서산, 당진, 태안)은 에너지 산업연소 및 생산공정 중심의 관리가 필요하고, 농어촌형(부여, 청양, 홍성, 예산)은 생물성연소 및 농업, 비산먼지 관리에 집중해야 하고, 도시·농촌복합형(천안, 공주, 아산, 논산, 계룡, 금산, 서천)은 도심지와 농어촌 배출을 별도로 관리하되, 시군별 배출 특성에 맞는 선택과 집중도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연구진은 “충남 주요 도시의 환경기준물질(PM10, SO2, CO, NO2, PM2.5) 농도는 대부분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O3(오존)은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중부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에 기반하여 △배출시설 관리(총량관리 제도 및 대기오염물질 관리체계 개선 등) △이동오염원 관리(무공해차 전환 확대, 운행차 저공해화, 교통수요 관리 등) △생활오염원 관리(배출원 관리 및 저감 지원,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원 관리, 농축산 미세먼지 관리 등) △과학적 정책 기반 및 지역 협력 강화(사각지대 해소, 기본·시행계획 추진의 실효성 확보, 협력 및 소통) 등 부문별 정책을 모니터링·평가하여 제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도자료출처: 충남연구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